-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재능이의 돈버는 일기
- StresslessLife
- K_JIN2SM
- 소소한 일상
- My Life Style & Memory a Box
- Blog's generation
- 공감 스토리
- 취객의 프로그래밍 연구실
- Love Me
- Dream Archive
- 세상에 발자취를 남기다 by kongmingu
- hanglesoul
- 카마의 IT 초행길
- 느리게.
- 미친듯이 즐겨보자..
- Joo studio
- Gonna be insane
- 악 다 날아갔어!! 갇대밋! 왓더...
- xopowo05
- 맑은공기희망운동
- 엔지니어 독립운동
- 혁준 블로그
- Simple in Complex with Simple
- 무의식이 의식을 지배한다
드럼치는 프로그래머
[DirextX] 평면 본문
평면의 표현
평면의 내적
평면의 생성
평면의 정규화
평면의 변환
평면의 표현
D3DX는 공간상의 평면에 대한 표현 및 함수를 지원한다.
공간상의 평면 표현
하나의 노말벡터 n과 한 점 p(0)로 표현된다.
임의의 한점 p가 평면상에 있다면 n · ( p - p(0) ) = 0을 만족
따라서 n · p + d = 0 ( d = -n · p ) 로 정리할 수 있다.
n을 단위벡터라고 가정하면 d가 원점에서 최단거리에 해당하고 부호를 가진다.
부호화된 최단거리란,
평면에서 원점으로의 방향이 n과 같은 방향이면 양수이고, n의 반대방향이면 음수이다.
평면의 노말을 n = (a, b, c)라고 하면
평면은 하나의 4차원 벡터 (a, b, c, d)로 표현 할 수 있다.
평면의 식은 ax + by + cz + dw = 0이다.
평면은 D3DX에서 D3DXPLANE 구조체로 표현한다.
D3DXPLANE은 FLOAT 형의 4차원 벡터를 위한 구조체로 a, b, c, d를 가진다.
D3DXPLANE은 두평면의 덧셈과 뺄셈, 스칼라로 곱셈과 나눗셈 등의 기본 산술 연산자를 재정의
한 평면 (n, d)와 한 점 p의 공간 관계를 계산
평면 노말 n은 단위벡터라고 하면,
k = n · p + d 를 부호가 있는 거리(signed distance)라고 한다.
k가 0이면 점 p는 그 평면상에 존재한다.
k가 양수이면 점 p는 평면의 앞쪽 공간(노말 방향)에 존재한다.
k가 음수이면 평면의 뒤쪽 공간에 존재한다.
평면상의 최단거리 점
한 점 p와 가장 가까이 있는 한 평면 (n, d)상의 점을 구할 수 있다.
p와 가장 가까이 있는 평면상의 점을 q라고 하고,
p에서 평면과의 부호가 있는 거리를 k = ( n · p + d )라고 하자.
q에서 p로 가는 벡터는 길이가 k이고 방향이 n이므로 kn이다.
즉, p = q + kn 이 된다. 따라서 q = p - kn 이다.
평면과 광선의 교점
광선(ray)은 광선의 시작점 p(0)와 광선의 방향 u로 표현된다.
광선 상의 점들은 p(t) = p0 + tu 로 표시된다. ( t는 0이거나 그보다 큰 양수 )
평면 n · p + d = 0 와 광선이 교차하는 점을 구하기
n · p(t) + d = 0 을 만족하는 t를 찾으면 된다.
이러한 t는 t = -(d + n · p0) / (n · u) 이다.
t가 음수라면 교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t가 양수라면 교차점은 p0 + [ -( d + n·p0 ) / ( n · u ) ]u로 주어진다.
평면의 내적
D3DXPlaneDotCoord 함수
평면 p = (a, b, c, d)와 비동차좌표 벡터 v = (x, y, z, 1)의 내적을 구한다.
즉, ax + by + cz + d 를 계산하여 리턴한다.
이 연산은 평면과 점과의 거리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3DXPLANE p(0.0f, 1.0f, 0.0f, 0.0f);
D3DXVECTOR3 v(3.0f, 5.0f, 2.0f);
float x = D3DXPlaneDotCoord( &p, &v );
if ( fequals(x, 0.0f) ) { /* v가 평면 상에 있음 */ }
if ( x > 0 ) { /* v가 평면의 양의 방향에 있음 */ }
if ( x < 0 ) { /* v가 평면의 음의 방향에 있음 */ }
x == 0.0f 대신 함수 fequals(x, 0.0f)를 사용한 이유는 x가 실수이므로 아주 작은 값 때문에,
x가 0.0f 와 다르게 되는 경우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x가 0.0f 와 매우 비슷하다면 같다고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수 x가 대략적으로 0이라는 것은 아래와 같이 구현하면 된다.
const float EPSILON = 0.001f;
boolean equals ( float lhs, float rhs ) {
return fabs(lhs - rhs) < EPSILON ? true : false
}
D3DXPlaneDotCoord 와 비슷한 다른 함수들
D3DXPlaneDot 함수
평면 p = (a, b, c, d)와 동차좌표로 표현된 D3DXVECTOR4 형 벡터 v = (x, y, z, w)의 내적을 구한다.
즉, ax + by + cz + dw 를 리턴한다.
D3DXPlaneDotNormal
평면 p = (a, b, c, d)와 방향을 표시하는 D3DXVECTOR3 형 벡터 v = (x, y, z)의 내적을 구한다.
즉, 벡터 v = (x, y, z)를 방향벡터 v = (x, y, z, 0)으로 취급하여 ax + by + cz를 리턴한다.
(이 함수는 평면의 노말과 다른 방향과의 각도를 계산하는데 쓰인다.)
평면의 생성
평면 D3DXPLANE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의 세가지로 가능하다.
D3DXPLANE p(a, b, c, d);
- 평면의 노말 n = (a, b, c)와 부호가 있는 거리 d가 주어지면,
평면 p를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D3DXPLANE p; // 평면
D3DXVECTOR3 p0; // 평면상의 한점
D3DXVECTOR3 n; // 평면 노말
D3DXPlaneFromPointNormal ( &p, &p0, &n );
- 평면의 노말 n = (a, b, c)와 평면상의 한 점 p0가 주어지면,
d = -n · p0로 부호가 있는 거리를 계산한다.
이후 첫번째 방법으로 평면을 생성하면 된다. D3DX에서 이 과정을 위한 함수를 제공
D3DXPLANE p; // 평면
D3DXVECTOR3 p0, p1, p2; // 평면상의 세 점
D3DXPlaneFromPoints ( &p, &p0, &p1, &p2 );
- 평면상의 세 점 p0, p1, p2가 주어지면
먼저 평면을 만드는 두 벡터 u = p1 - p0 와 v = p2 - p0를 계산하고
평면의 노말을 n = u X v 로 계산하고
부호가 있는 거리를 d = -n · p0 로 계산한다.
이제 첫번째 방법으로 평면을 생성할 수 있다.
평면의 정규화
평면 D3DXPLANE에 포함된 노말 n = (a, b, c)은 항상 단위벡터가 되도록 유지해야 한다.
평면의 정규화란 평면의 노말이 단위벡터가 되도록 해주는 것을 말한다.
평면에 대해 어떤 여산을 적용하여 평면의 노말이 단위벡터 성질을 만족하지 않게 될 경우에,
강제로 정규화를 해서 노말이 단위벡터가 되도록 해야 한다. d는 d = -n · p 이므로 노말에 의존된다.
따라서 노말을 수정하면 d도 동시에 수정해 주어야 한다.
( n, d ) -> ( n/∥n∥, d/∥n∥)
D3DX에서 제공되는 평면의 정규화 함수
[출처] [DirextX] 평면|작성자 yhWoo
'★─Programing > ☆─Direct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rectX] 변환 / 변환행렬 (0) | 2010.02.17 |
---|---|
[DirectX] 행렬 / 행렬의 연산 (0) | 2010.02.17 |
[DirectX] 벡터 / 벡터의 연산 (0) | 2010.02.17 |
[DirectX] 선형대수의 기초 - 행렬(Matrix) (0) | 2010.02.17 |
[DirectX] 선형대수의 기초 - 벡터(vector) (0) | 2010.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