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재능이의 돈버는 일기
- StresslessLife
- K_JIN2SM
- 소소한 일상
- My Life Style & Memory a Box
- Blog's generation
- 공감 스토리
- 취객의 프로그래밍 연구실
- Love Me
- Dream Archive
- 세상에 발자취를 남기다 by kongmingu
- hanglesoul
- 카마의 IT 초행길
- 느리게.
- 미친듯이 즐겨보자..
- Joo studio
- Gonna be insane
- 악 다 날아갔어!! 갇대밋! 왓더...
- xopowo05
- 맑은공기희망운동
- 엔지니어 독립운동
- 혁준 블로그
- Simple in Complex with Simple
- 무의식이 의식을 지배한다
목록★─Programing (620)
드럼치는 프로그래머
java.util.regex.Matcher; java.util.regex.Pattern; 이 두 클래스를 사용한다. 게시판의 내용에서 첫번째 이미지만 추출해서 메인 화면에 미리보기로 보여줘야 하는 상황에서 유용하다. 아래 예시는 이미지 태그만 해놨지만, pattern을 바꿔주면 다른 것들도 추출 가능하다. // 이미지 태그를 추출하기 위한 정규식. Pattern pattern = Pattern.compile("]*src=[\"']?([^>\"']+)[\"']?[^>]*>"); // 추출할 내용. String content = "Hello~ My name is blabla.. It's my picture. "; // 내용 중에서 이미지 태그를 찾아라! Matcher match = pattern.matche..
기능 : 지역, 메시지 형식, 숫자 및 날짜형식 접두어(Prefix) : fmt directive : JSTL 국제화 지역화 태그로 다국어 문서를 처리할 때 유용하고, 날짜와 숫자 형식을 다룰 때 사용된다. setLocale 다국어를 지원하는 페이지를 만들 경우 ResourceBundle로 불러오는 *.properties 파일들과 연계되어서 사용한다. value의 locale 값은 http://ftp.ics.uci.edu/pub/ietf/http/related/iso639.txt 언어코드와 http://userpage.chemie.fu-berlin.de/diverse/doc/ISO_3166.html 국가코드로 이루어진다. 생략될경우 톰캣 서버의 기본 값으로 설정이 되고, 둘 중에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다..
참조예제 JSTL forEach문에서 break 는 공식적으로는 없습니다. 하지만 변수선언을 통한 로직을 이용하는방법과 스크립릿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구현은 가능합니다. 로직 사용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status.count} 스크립틀릿 사용방식입니다. break; [출처] http://luckybaby.tistory.com/173
1. tiles란? 화면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파일이 아닌 여러부분을 따로 작업해서 하나로 묶어 화면에 보여주는것을 말합니다. 예를들어서 한 화면에 레이아웃이 header, content, footer로 구성되어 있으면 각 부분을 파일로 만들어서 여러 페이지에서 내용만 바꿔가면서 모든페이지에 header와 footer를 보여주는것이 가능합니다. 물론 하나의 파일에 전부 때려박아도 가능은하지만.. 뭔가 수정할때 페이지수만큼 수정이 필요합니다. JSP에는 이미 include 기능이 있는데 굳이 tiles를 쓰는 이유가 있을까요? 저도 tiles를 전부 이해한게 아니라서 뭐라 설명은 못드리는데... 일단 include보다 편합니다. 그대신 사용하기전에 설정이 필요해요. 레이아웃 요소들부터 레이아웃의 틀까..
ajax 호출시 마우스 커서를 'wait'로 변경하여 'busy' 상태를 표현 할 수 있다. css html.busy, html.busy * { cursor: wait !important; } js $(function() { $("html").bind("ajaxStart", function() { $(this).addClass('busy'); }).bind("ajaxStop", function() { $(this).removeClass('busy'); }); }); [출처] http://warmz.tistory.com/entry/jquery-ajax-%ED%98%B8%EC%B6%9C%EC%8B%9C-%EB%A7%88%EC%9A%B0%EC%8A%A4-%EC%BB%A4%EC%84%9C%EB%A5%BC-wai..
메인페이지에서 로그인 하였을 경우엔 로그아웃, 로그인을 하지 않았을 경우엔 로그인 버튼을 띄워주도록 하겠습니다. 시큐리티의 태그들을 사용하기 위해 taglibs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줍니다. pom.xml org.springframework.security spring-security-taglibs 이후, security taglib을 사용하겠다는 선언을 해주어야 합니다.security-context.xml에 http에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security taglib을 사용하고 싶은 jsp 파일 상단에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이후 로그인/로그아웃 버튼을 띄워주고 싶은 곳에 security의 authorize 태그를 사용합니다. 로그인로그아웃 isAnonymous()는 익명사용자를 의미합니다.j_spr..
jQuery의 .slideToggle()은 객체를 말아올리거나 펼치는 효과를 낸다. .slideToggle()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slideToggle( [움직임 시간(duration)] [, 움직이고 나서 실행할 함수(callback)] ) .slideToggle( [움직임 시간(duration)] [, 늦춤 함수(easing)] [, 움직이고 나서 실행할 함수(callback)] ) 움직임 시간은 밀리초(ms) 단위로 넣거나 slow, normal, fast를 쓸 수 있다. 아래는 jQuery로 단추(button)를 딸깍하면 상자(div)가 펼쳐져 있으면 말아올려서 접고, 접혀 있으면 천천히 펼쳐내리는 예제이다. 딸깍해 보세요 말아올리고 말아내리는 글상자 딸깍해 보세요 말아올리고 말아내리는 글상..
표준프레임워크 관련 궁금증을 서로 묻고 대답하는 공간입니다. textarea에서 엔터친 데이터를 보여줄때 br이 먹지 않습니다. 게시글 상세 보기 제목textarea에서 엔터친 데이터를 보여줄때 br이 먹지 않습니다.작성자명익명작성일2013-07-01조회2260글번호7405안녕하세요. textarea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고, 엔터 친 다음에 다음 글을 입력하고 이렇게 한 다음에 내용보기에서 글을 조회하면 엔터가 내려가지 않습니다. 예) 입력시 textarea 에서 11 22 조회화면 에서 11 22 이렇게 보입니다. 어떻게 하면 올바르게 보이는지 알려주세요.댓글 - 1개허광남 엔터가 html에서는 공백으로 표시되는 웹의 특성 때문에 그렇습니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1. 내용을 또는 태그로 감싸주기. ..
slideUp([speed], [callback]) / version : 1.0 - 높이를 지정한 시간동안 0으로 감소시키고 style의 display:none 상태를 적용시킨다. 슬라이딩(UP) 형식으로 표현되면서 사라지게 된다. $(document).ready(function(){ $("#test_id").click(function(){ $("#a").slideUp(500); }); }); - test_id 라는 id를 가진 요소를 클릭하면 a라는 id를 가진 요소가 0.5초간 슬라이딩(UP) 효과를 나타내며 사라진다. slideDown([speed], [callback]) / version : 1.0 - 숨겨진 요소의 style의 display:none 상태를 이전의 상태(block 또는 lilin..
fadeOut([speed], [callback]) / version : 1.0 - 지정한 시간동안 투명도를 1에서 0으로 감소시키고 style의 display:none 상태로 적용시킨다. 해당 요소가 서서히 사라지게 표현된다. $(document).ready(function(){ $("#test_id").click(function(){ $("#a").fadeOut(500); }); }); - test_id 라는 id를 가진 요소를 클릭하면 a라는 id를 가진 요소가 0.5초간 페이딩(Out) 효과를 나타내며 사라진다. fadeIn([speed], [callback]) / version : 1.0 - 지정한 시간동안 투명도를 0에서 1로 증가시키고 style의 display를 none의 이전상태(bl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