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재능이의 돈버는 일기
- StresslessLife
- K_JIN2SM
- 소소한 일상
- My Life Style & Memory a Box
- Blog's generation
- 공감 스토리
- 취객의 프로그래밍 연구실
- Love Me
- Dream Archive
- 세상에 발자취를 남기다 by kongmingu
- hanglesoul
- 카마의 IT 초행길
- 느리게.
- 미친듯이 즐겨보자..
- Joo studio
- Gonna be insane
- 악 다 날아갔어!! 갇대밋! 왓더...
- xopowo05
- 맑은공기희망운동
- 엔지니어 독립운동
- 혁준 블로그
- Simple in Complex with Simple
- 무의식이 의식을 지배한다
목록★─Programing (620)
드럼치는 프로그래머
참고 : 네이버 리눅스 유저그룹 : http://cafe.naver.com/linuxcare.cafe 리눅스 한글 문서 프로젝트 : http://wiki.kldp.org/wiki.php/GRUB * 참고..리눅스한글문서 프로젝트 글에 오타가 마니~있음을 알려드립니다. Edit by 달걀멘(eggchin@hanafos.com) 이 문서는 윈도우 재설치 혹은 하드 교환후에 grub을 재설치 하려고 삽질을 18번한 충격적인 기억때문에 만들게 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리눅스는 거의 동일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한소리2005에서만 테스트되었으며 다른 운영체계에서는 책임질수 없습니다;;;(ㅠ.ㅠ 저에게 책임을 물으셔도 모릅니당;;저도..초보입니당;;) 아 그리고 틀린부분 있으면 팍팍 지적해주세요 이 문서땜에 삽질..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n() { int i; srand((int)time(NULL)); // 현재 시간을 이용해서 씨드 결정 srand(time(NULL)); for(i=0; i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LVM(Linux Volume Manager) 구축하기 I. 시스템 사양 - PC 의 vmware 상에서 하드를 2개 추가하여 할 예정 - OS : redhat 9 2.4.20-31.9(yum으로 커널 컴파일 한 버전) - vmware에서 구축 - HDD 3개 : 이중 sad1(2G) 과 sdc1(2G) 에 구축예정 - CPU : Pentium 4 2.8Ghz - memory : 1G(physical) + 1G(swap) II . 구축하기 1. 먼저 디스크에 리눅스 LVM 파일 시스템을 만들어준다. [root@angka root]# fdisk /dev/sdb Command (m for help): n Command action e extended p primary partition (1-4) p Part..
- 자 이제 raid0, raid1 을 구축해 봤으니 raid 5를 구축해보겠다. - raid5 구축을 위해서는 최소한 3개의 디스크가 필요하다. 패러티라는것을 각각의 디스크에 추가해서 하나의 디스크가 깨졌을대도 문제없이 2개의 디스크가 구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패러티는 찾아보기 바란다. 쉽게 말해 오라클의 undo tablespace 같다고 하면 될까나? commit 된 데이터에 대한 rollback 기능?? 머 좀 틀린 개념이지만 여하튼 일반적인 raid5 구성은 적어도 4개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3개는 raid5 로 구성하고 하나는 hot space 로 두어서 3개의 디스크중 하나가 깨지면 hot space디스크가 패러티를 이용해서 깨진 하나의 디스크를 대체하는 식으로 구성된다. 자세한건 구글에 가..
- 이번에는 raid1(mirrorring)을 구축해 보겠다. - 기타등등은 raid0 구성하는 것과 거의 같으므로 생략한다(필자 블로그에서 raid0 구축방법 찾아보길 바란다) - raid1은 아시다 싶이 미러링이다. 즉 2개의 디스크에 똑같은 내용을 쓴다.. 같은 내용을 2개의 디스크에 써야함으로 write 속도는 그닥 빠르지 않다. 그러나 read 속도는 빠르다. 2개의 디스크에서 읽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 구축은 sdd1 과 sde1 을 만들고 mdadm 으로 구축하면 되겠다. 1) sdd1 과 sde1 을 파일시스템으로 만들고 파일시스템 유형은 Linux raid auto 로 준다. [root@localhost ~]# fdisk /dev/sdd Device contains neither a..
-fedora core 4 에서 raid 를 구성해 보겠다. -첫번째로 raid0(stripe) 구성 - 리눅스 LVM(Linux Volume Manager) 와 Raid0은 거의 같은 개념이다. LVM 은 필자의 블로그에 검색해보면 나온다. 차이점은 단지 data 저장방식차이다. LVM은 (2개의 디스크로 LVM 구축했다고 가정하면) 첫번째 디스크를 다 쓰고 그다음에 다음 디스크를 쓴다.. 순차적으로 쓴다는 말이다. 그러나 리눅스 Raid0(stripe)는 RR(Round Robin)방식으로 쓴다. 첫번째 디스크와 2번째 디스크를 한번씩 돌아가면서 쓴다는 말이다. 그러니 2개의 디스크에 동시에 write 하므로 데이터 write 속도는 어떤 Raid 방식보다 빠르다. 대신 2개의 디스크에서 읽어봐야 함..